본문 바로가기

그래프2

[기초] 자료구조 / 그래프(Graph)의 표현과 탐색 그래프를 저장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봅니다. 그래프의 표현 - 위와 같은 그래프는 정점이 6개, 간선이 8개 있다. - 간선에 방향이 없기 때문에, 방향이 없는 그래프이다. - 정점 : {1, 2, 3, 4, 5, 6} - 간선 : {(1, 2), (1, 5), (2, 5), (2, 3), (3, 4), (2, 4), (4, 5), (4, 6)} 보통 위 그림과 같이 정점의 개수, 간선의 개수 그리고 m개의 줄에 어떤 간선이 연결되어 있는지 주어집니다. 인접 행렬(Adjacency-matrix) 정점의 개수를 V라 했을 때, V x V 크기의 이차원 배열을 이용합니다. A[i][j] = 1 (i -> j 간선이 있을 때), 0 (없을 때) 이 인접행렬은 없는 간선도 저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배열이 생겨 많.. 2022. 8. 10.
[기초] 자료구조 / 그래프 (Graph) 그래프 그래프는 일종의 자료구조이고, 정점과 간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정점은 Node, Vertex / 간선은 Edge라 하며 정점 간의 관계를 나타냅니다. ex) G(V,E) 차수(Degree) 차수는 정점과 연결되어 있는 간선의 개수를 말합니다. 위 그래프에서 1, 2, 3은 각각 두 개의 간선이 연결되어 있으므로, 차수는 모두 2가 됩니다. 경로(Path) 예를 들어, 정점A에서 정점 B로 가는 경로는 1. A -> C -> D -> E -> B 2. A -> B 3. A -> C -> B 4. A -> C -> E -> B 이렇게 거쳐가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것이 바로 경로가 됩니다. 사이클(Cycle) 시작 정점과 도착 정점이 같으면 사이클이라 합니다. 예를 들어, 정점A에서 다시 정점A로 .. 2022. 8. 9.